top of page

박웅규 개인전 <벌레와 성자>


혐오와 거룩 (Impure sacred)

김정아 (미술비평가) 처음 박웅규 작가의 작품들을 접했을 때, 나는 막연히 내 취향이 아니다, 내 관심사가 아니라고 예단했다. 너무 종교적인데 불경스럽고, 너무 노골적인데 난해했다. 내가 가진 나와 너, 동질적인 것과 이질적인 것을 구분하는 방식이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쉽게 말해 편견과 선입견이 생긴 것이다. 그러니 참고 기다리자. 작가와 작품은 직접 대면하고 경험해야 하는 법이고, 거기서 나와 그의 시공의 좌표가 만나 예기치 못한 이야기가 만들어질 것이다. 지금까지의 작가의 관심사를 거칠게 요약하자면, ‘종교적 성물(聖物)과 도상(圖像)’, ‘신체적 성기(性器)와 가래(痰)’, 그리고 ‘애니메이션 얼굴(容)’ 등이다. 제각각으로 일관성 없이 들린다. 성물은 성기처럼 보이고, 가톨릭의 도상은 무속신앙의 부적처럼 보인다. 신체의 분비물인 가래는 스님의 성스러운 사리(舍利)처럼 응어리져 배출되어 있다. 남자인지 여자인지, 괴물인지 외계인이지 구분되지 않는 만화 같은 얼굴은 알 수 없는 생물, 무생물과 겹쳐져 있다. 단순한데 복잡하고, 더러운데 성스럽다. 구상인데 추상같고, 서양화이면서 동양화이고, 수묵화이면서 채색화이다. 누가 저 더러운 가래를 이렇게 정성스럽게 그릴까? 왜 별로 가까울 것 같지 않은 성상과 성기를 이렇게 밀착시켰을까? 질문하게 된다. 마음이 어지러워 진다.

그러나 직접 만난 작가의 모습은 그야말로 반전이었다. 짧은 머리와 하얀 얼굴에 망토 같은 긴 외투를 입고 조용하게 말하는 순한 모습은 흡사 구도중인 수도사 같았다. 도저히 그런 신성모독적, 외설적, 엽기적 작품을 할 것 같지 않은 모습이었다. 그의 이야기를 듣고 작가노트를 보니 그를 사로잡고 있는 무엇인가가 있음을 느꼈다. 그것은 ‘종교’였다. 어릴 적부터 집안에 가득했던 가톨릭 성물과 성화였다. 예수와 마리아의 모습은 그에게 우울하고 비극적인 성경적 상황인 동시에, 대량생산되어 보급된 조악하고 기괴한 키치 상품이었다. 자신을 억누르던 종교적 의례와 관습으로부터 벗어나고 싶었다. 저항하고 싶었다. 그러나 이 종교적 환경은 그에게 잔존하였고 환생하였다. 또 하나 그를 사로잡고 있는 것은 신체였다. 사람들이 드러내어 이야기하기를 금기시하는 성기였다. 그 종교적 성물들은 발칙하게도 성기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그것도 여성과 남성의 성기가 자웅일체 혹은 성교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이것은 현실 같지가 않았다. 마치 미지의 초현실, 혹은 익숙한 태고의 어떤 것 같았다. 생물인 것도 같고 무생물인 것도 같고, 자연인 것도 같고 인공물인 것도 같았다. 또한 그가 뱉어낸 가래를 형상화한 구(球)는 중국의 보물인 겹겹이 조각한 상아구를 연상시시켜 지지대 위에 당당히 서있지만, 실상은 드래곤 볼의 피규어에서 온 것이다. 더러운데 고귀하고, 전통적인데 현대적이다. 여기서 신체에 대한 관심은 얼굴로 이어진다. 이 얼굴 연작은 에니메이션적이다. 커다랗고 둥근 눈은 2개에서 3개, 여러 개가 되어 그 구멍에서 액체가 쏟아져 나오거나, 종기가 난 것 같다. 벌레와 낙지, 털이 얼굴을 뒤덮고 있다. 징그러워야 하는데 왠지 귀엽다. 이렇게 뭔가 모순적인 것들이 공존하는 그의 작품은 직접 보았을 때 또 하나의 반전을 주었다. 종이나 화면으로만 봤던 작품은 실제로 보니 그렇게 섬세하고 단아할 수가 없었다. 성기를 그렸든, 가래를 그렸든, 괴물을 그렸든, 그 무엇을 그렸든 상관없이 점 하나, 선 하나가 살아 있는 공들인 작품들이었다. 서양화인줄 알았는데, 장지(壯紙)에 먹(墨)으로 그린 수묵채색화이자 세밀화였다.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균열이 생기는 순간이었다. 즉 그림의 재료와 기법으로서의 형식은 그림의 대상과 주제로부터 분리되었다. 작가가 말하고 싶은 것과 보여주는 것 사이의 간극이 존재했다. 그는 저항하고 싶은데 전통을 이어가고 있었다. 외설적인 형상인데 성스럽게 표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괴리는 부정적이지 않았다. 오히려 그 어긋남의 의외성이 주는 감동이 몰려왔다.

지금까지 우리의 문화 속 더럽다고 간주되는 것들은 으레 더럽게 묘사되어야 했다. 성스런 것들은 더럽게 묘사되어서는 안 되었다. 혐오스러운 것, 괴상한 것은 그런 모습이어야 했다. 하지만 왜 그래야만 하는가? 이 물음이 순간이 바로 저항이고 재창조의 지점인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깨끗함과 더러움(pure and impure)’, ‘사랑과 혐오(love and hatred)’, ‘성과 속(sacred and secular)’, ‘질서와 혼돈(cosmos and chaos)’, ‘가깝고 먼(close and distant)’, ‘안전과 위험(secure and danger)’의 이항대립의 관계를 재고하게 된다. 깨끗한 것은 질서이고 더러움은 혼돈이었다. 사랑하는 것은 가까이 있어야 하고 혐오하는 것은 멀리 있어야 했다. 성스러운 것은 안전하고 불경스러운 것은 위험했다. 이것은 한때 대립이었지만 이제 전도되고, 교차하며, 혼합되었다. 아니 애초부터 서로가 서로에게 모순되는 것들이 한 자리에 존재했는지 모른다. 하나님의 아들 예수는 마구간에서 동물보다 못하게 태어났고, 가장 혐오스런 십자가에서 죽었다. 동정녀 마리아는 성령으로 잉태하였지만 세상의 불결한 시선으로 인해 배척 받았다. 원래 그런 것이다. 아름다운 옥에는 티가 있으며, 내 안에는 성자도 성모도 있지만, 괴물도 동물도 있다. 사실 서양 미술사에서 박웅규 작가의 작업은 낯설지 않다. 현대 미술에서 여러 갈래 속에 속할 수 있다. 그래야 한다면 말이다. 즉 종교가 담당하는 삶과 죽음의 원초적 문제, 기독교를 재고하고 저항하는 미술은 항상 있었다. 혐오의 가치와 구별에 저항하는 미술이 있었고, 비정형을 다루는 미술도 있었다. 성과 신체에 집중하는 미술이 있었고, 변신과 변형의 미술이 있었다. 미술사에서 가장 세속적인 작가라 할 수 있는 앤디 워홀(Andy Warhol)도 슬로바키아에서 미국으로 건너온 이민자 가정 출신으로, 비잔틴 가톨릭 교회에 다녔다. 그의 어머니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고, 워홀은 거기에 영향 받아 신실했으면서도 동시에 종교적인 것과 갈등하고 씨름했다. 이러한 그의 종교적 관심은 마리아와 예수의 초상이나 최후의 만찬을 다룬 작품으로 직접적으로 나타났고, 죽음과 구원을 다룬 그의 작품들은 그가 결코 종교적 주제로부터 벗어날 수 없었음을 보여준다.

오늘날 1980년대 이후 등장한 yBa(Young British Artists) 작가들 중 크리스 오필리(Chris Ofili)는 성모 마리아를 검은 마리아와 코끼리 배설물, 성기 등으로 ‘성상모독적’으로 표현하여 큰 충격과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같은 맥락에서 데미언 허스트(Damien Hirst)와 마크 퀸(Marc Quinn), 트레이시 에민(Tracy Emin), 채프만 형제(Jake and Dinos Champman) 등도 삶과 죽음이라는 큰 범주 속 신체의 보존과 부패, 변형된 신체의 기이함, 인간의 성기와 분비물의 노출, 현실 속 사랑과 성의 적나라함 등 우리가 예술이라고 생각할 수 없었던 극단적 주제들을 다룬다. 그 외에도 많은 현대 작가들은 인간에게 있는 기존의 ‘밝고, 깨끗하고, 정상적인’ 모습이 아닌 ‘어둡고, 더럽고, 비정상적인’ 모습에 주목하도록 요청한다. 길버트 앤 조지(Gilbert and George), 키키 스미스(Kiki Smith), 폴 매카시(Paul McCartjy), 로버트 고버(Robert Gober) 등은 절단되거나 변형되고, 분비중인 신체를 적나라하게 표현하거나, 인간의 대변, 피, 침, 성기 등 액체의 비정형성이 인간에게 주는 공포감과 불안감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예술과 문화 속에 억압되어 있던 금기를 깨고 인간의 다양한 면모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을 추구한다.

이러한 시도들을 좋아하던 좋아하지 않던 간에, 오늘날 이러한 예술의 흐름은 지속되고 확장되고 있다. 박웅규 작가의 작업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재발견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서구 작가들이 종교와 신체를 둘러싼 불안과 혐오를 다루는 방식은 대체로 공격적이다. 각성과 충격을 주려는 목적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웅규 작가가 우리에게 다가오는 방식은 참으로 온화하다. 우리에게 가르치려 들지도 않고, 우리가 변화하기를 강요하지 않는다. 그저 자신이 사로잡혀 있는 것들을 솔직하게 드러낸다. 흥미롭게도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그리지 않는다. 그는 자신이 가장 떨쳐버리고 싶은 것, 자신이 가장 혐오하는 것들을 그린다. 성모 마리아가 그랬고, 바퀴벌레가 그랬다. 그런 것들을 극도로 세밀하게 묘사하노라면 오히려 떨쳐버릴 수 있었고 혐오하지 않게 되었다고 그는 말한다. 용감한 정면돌파 방식이다. 그는 ‘사랑과 혐오’, ‘집착과 포기’가 상호 작동하는 세상의 이치를 예술적 실천을 통해 알아버렸는지 모른다. 어쩌면 이 모든 이분법의 적대적 대립은 ‘자아와 타자’를 다루는 궁여지책이었는지 모른다. 내 안에 타자가 있다. 내 안에 괴물이 있다. 내 안에 속된 것이 있고, 혐오스런 것, 더러운 것이 있다. 아니 나 자신이 속되고 혐오스럽고 더러울지 모른다. 어쩌면 그런 구분 자체가 없는지 모른다. 이제 이것을 다루는 방식이 변해야 할 것 같다. 내 안의 그 이질적인 것들을 끊임없이 차별하고 격리하며 ‘타자화’ 시킬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감싸 안고 보듬어 줘야 할 것 같다. 여기서 박웅규 작가가 우리에게 속삭이는 메시지는 그 ‘문제적 타자’를 공격하고 동화시켜 ‘자기화’ 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인정하고 포옹하여 공존하게 하는 것이다. 그 구분이 현존한다면 그것을 폐기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모호한 경계를 흔들어 유동하게 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내 안의 편견과 선입견을 버리고 그가 작품을 통해 말하는 메시지에 귀 기울여 보자.

박웅규 / Wunggyu Park

1987년생, 수원 출생 용인에서 거주 및 작업

2015 동 대학원 졸업 2010 추계예술대학교 미술학부 동양화전공 졸업

개인전

2016 모조교의,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5 [불온한 일치], 세덱아트갤러리, 서울

단체전

2017 걷는 미래,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6 아시아 아트 하이웨이,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6 봉봉 브릿지 프로젝트, 봉봉방앗간&콘크리트 플랫폼, 강릉 도큐멘트 10년의 흔적, 10년의 미래,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Hybrid_새로운 시각,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2013 쿤스트독 아티스트 클러스터, 갤러리 쿤스트독, 서울 2012 공장미술제, 선셋장항페스티벌, 장항

불안과 불완전, 현대미술공간 C21, 서울 2011 Boiling point, 갤러리 쿤스트독, 서울 2010 아시아프-아시아 청년작가 아트 페스티벌, 성신여대, 서울

레지던시

2016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10기

E-mail galgamagwie@gmail.com

C.P 010-2659-3754


추천 게시물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아직 태그가 없습니다.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bottom of page